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oup play therapy program for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ocial skill improvement

  • 3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가를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시설아동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작위 선정하여, 선정된 10명의 실험집단 아동에게 매회60분씩 12회기에 걸쳐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한 사회적 기술 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집단별로 사전-사후-추후검사를 분류해서 채점한 후,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집단별로 사회적 기술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원배치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참가자와 교사의 소감문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주장성, 공감, 협동성, 자기조절의 모든 영역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시설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for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ocial skill improvement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program on improving their social skills. Based on the results for the study, 12-session group play therapy program, which included 4 steps for making friends, expressing and controling emotion, learning social skills, and finishing, was developed.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rogram for 10 institutionalized Children. 20 children of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rranged at random. Treatment group children took part in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at twice a week for 6 weeks.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the program, the research instrument was 'Social Skill rating System: K-SSRS'. The data Social Skill rating system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COVA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bserv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and follow-up. And the data was performed 'repeated measure ANOVA' to search intensity of program's effec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A group play therapy program improved institutionalized children's social skills. Especially, it improved the abilities of assertion, sympathy, cooperation, and self-control. The implication of study findings will b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