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광역지방자치단체 유튜브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President's Crisis Communication during Covid 19: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대통령의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을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2020년 1월 19일부터 2021년 10월 31일까지의 코로나 19관련 대통령 연설문을 구조적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유입 초반인 1차 확산과 사랑제일교회 관련 집단감염 및 진보·보수 집회가 발생한 2차 확산 시기에는 확진자 수 증가에 따른 감염병 확산 관련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부정적 감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차 확산부터 토픽과 감성의 변화는 확진자 수와 특정 사건에 따라 변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인 감성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병과 관련된 토픽보다 오히려 경제와 관련된 토픽이 높게 발현되었다. 한편, 효과적 위기 메시지 요소를 제시하는 IDEA모델을 통해 연설문 내용을 살펴본 결과, 대통령은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내재화’와 정보를 전달하는 ‘설명 요소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에도 상황의 심각성이나 행동조치에 대해 알리기 보다 경제 회복 및 지원 관련 메시지를 긍정적 감성으로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대통령의 위기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는 점,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효율적인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With an aim to find out the leader's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in a national cris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residential speech concerning COVID-19 by employ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 during the 1st time frame (20.01.19-20.04.20) and the 2nd time frame(20.04.21-20.09.28), topics related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were derived and negative sentiment increased. However, from the 3rd time frame (20.09.29-21.03.31), changes in topics and sentiment did not occur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specific events. Rather, positive emotions were found to be dominant in the 3rd time frame. Economic topic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infection related topics during the 3rd and the 4th time frame(21.04.01-21.10.31). Despite an unceasing surge in coronavirus cases throughout the nation, the president’s speech was found to be limited to economic recovery and support accompanied with positive sentiment as opposed to informing the risk or to asking for protective actions. Additionally, based on the IDEA model, we examined the president’s speech to see whether the president utilized effective crisis communications. We found that the president mainly used 'internalization' and 'explan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