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만화치료’가 이혼가정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사회성 미숙 때문에 치료에 의뢰된 이혼 가정의 학령기 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설계로 총 14회기로 구성하였다. 한 회기는 총 90분간 진행되었는데, 치료 준비를 위한 이완활동(20분), 사회성 향상을 위한 만화치료(40분), 토론 과정(10분), 그리고 익힌 기술을 연습하기 위한 자유놀이(20분)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회기내 자유놀이 상황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은 다른 아동들과 상호작용하고 기능적인 패턴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자아상이 나타나고 인물상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등 학교생활그림에 나타난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셋째, 사회적 기능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through cartoon therapy of school-aged who were referred for therapy because of poor social abilities. This study was consisted of pretest, treatment with 14 sessions with 90 minutes of each session, and post test. The contents of the session was consist of 4 parts, that is, relaxation for adjustment and preparation for the cartoon therapy(20 minutes), cartoon therapy for promotion of social interaction(40 minutes), discussion(10 minutes), and free play for excercise of the learned skill(20 minute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social interactions in the free play in the session showed improvements more to play with other children, more responsive and interactional play pattern with other children. 2. The kinetic school drawing was changed to more improved in self figure, distance between figures. 3. social functions were improv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