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분리불안형 등교거부아의 모래상자놀이치료

Sand play therapy for a child with school refusal with signs of seperation anxiety

  • 36
커버이미지 없음

본 논문은 초등학교 여아의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교거부에 대한 모래상자놀이치료 사례로, 본 사례를 통해 분리불안형 등교거부의 치료방법과 증상유발요인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정신역동학적면에서, 분리불안에 의한 등교거부는 불안정한 모자관계에 의한 것으로 본다. 본 사례에서도 환아의 등교거부는 모의 갈등과 불안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치료 목표는 조기에 재등교하는 것으로, 초기에 인지행동 놀이치료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치료 초기 환아는 모와의 분리불안을 보였으나, 모래상자 놀이에 흥미를 갖게 되어 모래상자 놀이치료 접근을 이용하였다. 환아는 모래상자 놀이를 통해 점차 자신의 불안을 나타내게 되었고, 인지행동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모와의 등교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치료 접근 방법을 통해 환아의 불안 표출로 인해 정서적 안정을 이루었으며, 혼자서 등교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reports on the therapeutic approaches through sand play therapy with a schoolgirl with school refusal, and the effects on school refusal by seperation anxiety. Psychodynamically, school refusal by seperation anxiety is interpreted as unstale mother child relationship. in this case, school refusal also showed by her mother conflicts and anxiety with her grandfather. Therapy was initiated in conjunction with cognitive behavioral play approach since we aim to return to school early. initially, she was emotionally unstable, showing sings of seperation anxiety in therapy, but she liked sand play. She was good at expressing her feelings, so we used sand play approach. She became able to express her feeling of fear and anxiety by sand play, and attend to school with her mother by cognitive behavioral play approach, which gradually lessened the degree of her seperation anxiety. Through these approaches, she able to express her feelings, thus enabling her to stabilize her emotions and become to attend to school by herself.

Ⅰ. 머리말

Ⅱ. 사례개요

Ⅲ. 치료경과

Ⅳ. 고찰

Ⅳ. 마지막글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