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아동 자유놀이 상호작용 평가 모형

본 연구는 자유놀이 상황에서 부모-아동의 상호작용을 관찰하는 평가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동이 놀이치료에 의뢰되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심리검사, 행동관찰을 하고, 부모 면담을 통해 아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왔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자녀의 관계는 아동이 현재 보이는 문제 행동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쳐왔고 앞으로의 놀이치료 진행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에 의뢰된 아동을 대상으로 자유놀이 상황에서 실시된 부모-아동 상호작용 사례들을 분석하면서 제시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새로운 유형의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내용은 놀이의 주도성, 함께 놀이하기, 정서적 유대, 놀이의 즐거움의 측면에서 관찰하도록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model of parent and child interaction through the observation in free play situation. When a child is referred in play therapy, therapists gathered the information from taking psychological test and observing the child's behavior, and asking the parents about their children. Because the present problems of children were influenced from parent's child caring attitude and the relation of parents and children, play therapists must know the information about parent-child interaction when they want to establish the therapy goa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This study had two steps. First, it was analyzed the 24 taped recording films about mother-child interaction in free play situation. Subjects were 18 preschool child-mother dyads who were referred in play therapy because of emotional or developmental problems. Second, it was suggested an assessment model of parent-child interaction after analyzing the 24 taped recording films. The contents of an assessment model of parent-child interaction are consisted with observing and evaluating an initiation of play, emotional bonding of parent-child, playful of play, and play together with parent and child in free-play situation.

Ⅰ. 시작하는 글

Ⅱ. 놀이의 진단적 가치

Ⅲ. 놀이에서 부모-아동 상호작용

Ⅳ. 놀이를 이용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도구

Ⅴ. 연구방법

Ⅵ. 자유놀이를 이용한 부모-아동 상호작용 평가 모형

Ⅶ. 맺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