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부적응에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해서 부모간의 갈등(갈등 빈도, 표출적 갈등, 숨겨진 갈등)과 아동․청소년의 부적응과의 관계를 밝혀 내어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청소년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가설적 연구모델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주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274명, 중학교 1, 2학년 439명, 인문계․실업계 고등학교 1, 2학년 6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과 LISRELⅧ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부모간의 갈등(갈등의 빈도, 표출적 갈등, 숨겨진 갈등)이 높을수록 아동․청소년의 부적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부모간의 갈등이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청소년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중요한 변인임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이 높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도록 강화하는 것이 부모간의 갈등이 아동․청소년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quency and styles of parent's conflict, mediated by self-esteem, on mal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theoretical model was specified and estimated.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329(2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439 middle school students, and 616 high school students) drawn from 2 elementary, 4 middle, and 5 high schools in Cheong-ju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LISREL Ⅷ package(Joreskog,& Sorbom, 1989), using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unknown parameters. This method was particularly valuable in order to provide a comprehensive means for assessing and modifying theoretical models. As the result indicated, children's and adolescent's self-esteem w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decreasing mal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 by parents' frequency of conflict and conflict style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that self-esteem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eater internal & external maladjustment. As predicted, maladjustment was positively and strongly affected by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o,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broad-mind thinking about how parents' frequency of conflict and conflict styles, children'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 are interrela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