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인지발달중재 13-2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의 원가족 부모애착과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효과 중심으로

The Mediational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amily-of-Origin Attachment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Focusing on Actor and Partner Effec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애착이론과 Belsky의 양육행동결정 과정모델을 적용하여 부모의 원가족 부모애착과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모관계의 상호역동적인 속성을 고려하여 만 3세∼6세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 총 435쌍의 커플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APIM모형을 적용하여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및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매개효과에 대한 자기효과는 부모의 원가족 부모애착이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의 순차적 이중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상대방효과는 이성의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원모애착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어머니의 정서조절곤란이 자신의 긍정 양육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의 실행기능 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들을 위해 자신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경험과 더불어 현재의 심리적․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부모 지원이나 정책개발에 근거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on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amily-of-origin attachment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considering the mutual effect of fathers and mothers. Methods: Considering the mutual characteristics of parental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435 pairs of fathers and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6. For data analysis,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APIM model, and the mediation model was confirmed.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s showed the following actor effects. Parent’s family-of-origin attachment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a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parenting behaviors. Seco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child’s gender were found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boys than on girls in the path of mothers’ attachment with the origin of the family to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in the path of mothers’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to their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through this study, parents who had difficulty raising their children’s execution functions provided data on parental support or policy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children’s curren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