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및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and Friendship Stress on High-School Students' Depressio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나라 고등학생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이 되는 학업 스트레스와 친구관계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이라는 변수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4개 지역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매개효과는 다중 회귀분석을,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각각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아존중감은 고등학생들이 느끼는 학업 스트레스와 친구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은 또 친구관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우울 감소 방안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friendship stress, which are the biggest stressor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on depression, and in this process, by analyzing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we are looking for ways to reduce the depression experienced by adolescent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high school students in 4 regions across the country.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tress and friend stress not only directly affect the dep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indirectly affect them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moder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a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hip stress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se results, it suggests ways to reduce depression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actical approaches to improve self-esteem.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 과

Ⅴ.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