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적 약자의 여가 교육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for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 Meta-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약자 계층의 여가 교육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사회적 약자의 여가 교육 효과에 대한 실제적 유의성을 검증하고, 둘째,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물(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연구 총 9편, 52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 교육이 사회적 약자 계층에 미치는 전체 효과 크기는 .716으로 Cohen의 효과 크기 기준으로 볼 때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약자 유형의 효과 크기는 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교육 진행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진행 시간이 증가할수록 교육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여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education programs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in Korea. A total of 9 research papers examining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verall effect size of leisure education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was ES = 0.716 (Hedges’g), which was a medium effect size.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ffects of leisure education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appeared to be the types of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education time. In particular, elderly and longer time of education had bigger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leisure education for socially underprivileged is effective and show that the types of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education time are crucial factors in the leisure education design.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