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대학생 3명으로 2021년 6월 9일부터 2021년 8월 21일까지주 1회 80분씩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대인관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전과 사후에실시하였으며 투사검사는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집단구성원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의 변화과정을 회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첫째,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소집단미술치료는 학교 부적응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셋째, 소집단 미술치료는 동적학교생활화(KSD) 검사에서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 학교생활, 대인관계, 자기표현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며, 정서적 공감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넷째, 소집단미술치료의회기별 주요내용 변화에서 대학생은 자기조절, 자기수용 및 긍정적 정서의 향상으로 부정적인 사고가감소하였으며,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소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대학생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 group art therapy on human relationships and the self-esteem of school maladaptive-behav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 college students in city 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ne 9, 2021 to August 21, 2021 with sessions taking place once a week for 80 minutes, for a total of 10 sessions. Human relation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they were conducted pre and post each session. For the projective test, pre- and post-Kinetic School Drawing test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addition, comparison analysis of group members’ changes in human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were conducted for each session. First of all, small group art therapy has achieved improvement on maladaptiv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ships. Secondly, small group art therapy has led to positive results in improving self-esteem for maladaptive students. Thirdly, while conducting Kinetic School Drawing problem-solving skills, schooling, human relationships, self-expression, as well as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interaction have evolved positively. Lastly, each session of small group art therapy led to a decrease in students’ negative thinking, by improving self-control and self-acceptance. Furthermore, students have acquired skills on build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ng, by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 group. The positive effect of small group art therapy is proven through the research, and therefore, small group art therapy is highly recommended for maladaptive students.
서 론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결 과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