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서기전 2세기~서기 2세기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 시스템과 유통망 구조

The Ironware Burial System and Distribution Network of the Saro Area from the 2nd century BCE to the 2nd century CE

본고는 분묘 부장 철기의 검토, 제철 유적의 특징, 금속학적 분석을 상호 비교하여 생산-유통-분배-소비의 연결고리를 탐색함으로써, 사로국이 실질적으로 분묘에 반영하고자 했던 철기 소비 방식과 유통망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서기전 2세기대부터 분묘에 부장된 초기 철기는 서북지방/호서·호남지방/중국 계통의 일부 기종 유입과 자체 생산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되었다. 그 배경에는 다양한 경로·유입 방식에 의거한 새로운 ‘철 물품’ 입수 능력과 급속도로 발전한 철기 생산력을 표출하고자 했던 부장 맥락이 깔려 있었다. 서기전 2세기 말 이후, 사로권역의 철기 부장체계는 서북지방의 기종 구성을 기본 구조로 하되 일부 기종과 생산 기술이 추가되는 형태로 단기간에 완비됨으로써, 위만조선 유이민 영향에 의한 철기 생산체계의 이식과 적극적 수용이 상정된다. 서기전 1세기~서기 1세기에 걸쳐 금호강~형산강 유역(달천광산 일대 포함)에 입지한 수장묘에서는 철 소재를 양적으로 과시하는 매장의례(판상철부 시대, 목관 내부 장식 등)가 공유된다. 이런 현상은 분묘가 본격적으로 철기 소비처로 변모하는 변화 획기로서 진, 변한 특유의 위세적 철기 소비라는 부장 전통을 형성, 전개한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중간 소재인 판상철부만이 대량 부장되고 배타적 매장의례로 소비된 배경에는 불균등한 철광석 산지와 초보적 제련 공정 수준에 의해 철 소재의 유통과 확보가 매우 중요시되었고, 진한 유력 국 사이에서 일부 수장들이 철 생산 및 유통망 개입, 분배 관할력을 표출하기 위해 경제적, 이념적 유대 전략을 고안해 낸 것이었다. 2세기 전후의 상황으로 볼 때, 노동집약적 철(기) 생산, 유통의 당시 조건 속에서 사로국은 철광석 산지 확보, 사회적 조직력, 안정적 대외 교역망 등이 충족된 상태였다. 그러한 조건에 기반하여 사라리 130호묘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철 소재 부장량 및 매장의례가 극대화된 형태로 표출되었고, 사로국의 철 생산 및철기 유통과 직결된 경제적, 문화적 기반이 독보적이었음을 보여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ironware buried in tomb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ron manufacture, as well as to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allurgical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results of such a study could help to explore the link betwee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also illustrate the operation method of ironware produ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network, both of which, it is argued, was reflected in Saroguk tombs in a deliberate manner. From the 2nd century BCE, early ironware buried in tombs was comprised of indigenous products and those that could be traced to ironware from northwestern Korea, the Hoseo and Honam regions, in addition to Chinese ironware. The reason behind this ironware composition can be found in the desire to express the rapidly developed iron productivity of the area, as well as the ability to obtain new ‘iron goods’ through various routes and methods. After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E, the ironware burial system in the Saro area was comple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with the ironware tradition of the northwestern region forming the basic foundation, with the addition of some new types and production technologies. This suggests the transplantation and active acceptance of the iron production system of Weiman Joseon.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st century CE, burial rituals (the use of iron ingots to pave the floor of the burial pit and the interior decoration of the wooden coffin) were shared in the Geumhogang River and Hyungsangang River Basin (where the Dalcheon Mine is locate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to mark the point at which that the tradition of consuming ironware unique to Jinhan and Byeonhan emerged; it represents a transition to the active consumption of prestige ironware in burials. Securing iron ore production, social organizational power, and a stable foreign trade network was essential for spearheading labor-intensive ir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efficiency of iron production was not particularly high. Given such conditions, Sarari Tomb No. 130 can be seen to express a form of ironware consumption in a burial context in which the volume of iron materials and the degree of ritual practice was maximized, illustrating that the economic and cultural foundations directly related to iron production and ironware distribution in Saroguk was unique.

Ⅰ. 머리말

Ⅱ. 분묘 부장 철기의 검토

Ⅲ. 제철 유적의 특징과 금속학적 분석

Ⅳ. 생산-유통-소비의 순환 구조: 철기 소비처 분묘와 매장의례 형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