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과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 동향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Trends in Pea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nd Japan

  • 294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에 나타난 특징을 밝히기 위해 두 나라의 평화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키워드로 ‘평화교육’(한국)과 ‘平和敎育’(일본)을 각각 입력하여 추출된 한국과 일본의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양국의 평화교육 연구에 나타난 특징을 밝혔다. 이때 연구 방법으로는 KH Coder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는 양적으로 다르나, 연대별 추이는 유사하다. 둘째, 평화교육을 조명하는 연구 프레임이 한국과 일본에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종교와 통일 관련 평화교육 연구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는 전쟁, 국제, 오키나와, 실천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한국과 일본 모두 시기에 따른 연구 패턴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는 평화교육 연구를 종교적인 맥락에서 도입하여 점차 분단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통일교육의 맥락으로 전개 양상이 전환되었다. 전쟁 중심의 평화교육 연구를 하고 있는 일본은 중반기의 ‘과제’ 중심 연구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실천’ 중심의 평화교육 연구로 옮겨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통일 중심 평화교육 연구는 주로 도덕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반면 일본의 전쟁 중심 평화교육 연구는 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성과에 비추어 볼 때 양국 모두 민족과 국가적인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한 평화교육이 전개되고 있어, 한국과 일본은 자국에 갇힌 형태의 평화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형태의 평화교육으로 나아가야 하는 공통의 과제가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ace education research (PER) in Korea and Japan. To this end,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trends in those two countries, focusing on PER extra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hich provides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information. For these analyses, KH Coder was utilized as a research to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 produced in Korea and Japan contain four characteristics. First, although PER in Korea and Japan differ quantitatively, their trends over time are similar.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mes dealt with by PER studies in Korea and Japan are different. In Korea, PER related to ‘religion’ and ‘unification’ was the main focus, while in Japan many studies on ‘war,’ ‘international,’ ‘Okinawa’ and ‘practice’ were conducted. In South Korea, peace education was introduced in a religious context, but shifted to a unified education context that sought to overcome North-South divisions. In Japan, peace education developed from PER centered on ‘issues’ in the middle half to PER centered on ‘practice’ in the second half. Finally, while Korea's unification-centered PER was mainly conducted in moral subjects, Japan's war-centered PER centered on social studies. Peace education was being developed based on national and national interests in both countries. It has become clear that Korea and Japan have a common task to move away from the closed form of peace education to a more open form of peace education.

Ⅰ. 들어가며

Ⅱ. 한국의 평화교육 연구

Ⅲ.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

Ⅳ. 한일 평화교육 연구 비교 결과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