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방향

UN 장애인권리협약을 중심으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지만 법률의 실질적인 효력 및 구속력이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권리협약」을 중심으로 장애인 당사자가 권리의 정당한 소유자이자 주체자로서의 권리 향상을 위한 법률의 개정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전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법적 구속력 강화, 개정사항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의무 강화의 세 가지개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법률적 완비 및 실질적인 장애인들의 권리구제를 위해서는 장애인을 범주화하거나 지지해 주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할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특성을 가진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Act on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in force, the actual effect and binding force of the law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find the direction of amendment of the law in order to strengthen accessibility and improve the level of rights remedies for the disabl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revision directions were suggested: a transition from a medical model to a social model, strengthening the legal binding force of the 「Act on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strengthening the obligation to educate and publicize the amendment. For the legal completion of the 「Act on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ual relief of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should be to regard the disabled people as independent people with social 'characteristics', not categorizing them or recognizing them as 'objects' to be supported.

Ⅰ. 문제제기

Ⅱ.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인차별금지법

Ⅲ.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 방향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