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TALIS 2018에 나타난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 특징과 유형 분석

이 연구는 교사협력이 다양한 양상과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하에,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활동의 특징이 어떠하며 이러한 협력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상적 협력’, ‘공동교수활동’, ‘학습공동체 참여’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이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협력활동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력활동 양상에 따라 잠재집단으로 구분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최상위 집단’, ‘공동교수활동 참여 저조 집단’,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 ‘전반적 최하위 집단’의 4개 집단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연구 대상 중 ‘전반적 최하위 집단’과 ‘공동교수/학습공동체 참여 저조 집단’에 속한 초등교사의 비율이 약 85%로 나타났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교직경력, 교직선택동기, 인지활성화 교수활동, 교사의 자기효능감, 동료교사의 혁신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협력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의 성과 점검 및 방향 재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consist of three sub-factors: daily exchange and coordination, co-teaching, learning communities. Second,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uggest that four latent profiles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eachers’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y are named as ‘top-level’, ‘low co-teaching’,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ottom-level’. Among samples, about 85%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low co-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ies’ and ‘bottom-level’ profiles. Third,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motive, cognitive activation teaching, self-efficacy, innovative climate have influence on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nitoring policy outcomes and re-establishing the purpose of policy suppor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