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노인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중재 대상자, 중재의 특성과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추후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Web of Science, Scopus, CINAHL을 사용하였다. 문헌 검색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로 하였으며 검색어는 “Old Adult” AND “Application” AND “Health” AND (“Computer” OR “Tablet” OR “Mobile”)로 하였다. 어플리케이션 관련 검색어는Smartphone*, Tablet Device*, Mobile app*, Mobile Health, mHealth로 하였다. 결과 : 검색된 논문의 질적 수준 분류를 분석한 결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2편(28.57%), 코호트 연구가1편(14.29%), 사단일 집단 비 무작위 연구가 총 4편(57.14%)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정상 노인 대상이 3 편(57.1%)이고 고혈압 환자, 치매 환자, 경도치매환자, 골다공증 고관절 골절환자 대상이 각 1편(14.3%) 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특성 측면에서는 신체적 건강, 인지적 건강, 정신적 건강을 목표로 어플리케이션중재가 적용되었고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중재 및 효과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고령사회의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추후 노인의특성을 고려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health-related applications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may support research on health-related application develop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in the future. Methods : This study used Web of Science, Scopus, and CINAHL as search databases. The literature 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and the search term was Elderly AND Application AND Health AND (Computer OR Tablet OR Mobile).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classification of the searched papers, there were 2 randomized control studies (28.57%), 1 cohort study (14.29%), 1 pre-post study and 3 single-group non-randomized studies, respectively. There were 4 episodes (57.14%) in tot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4 general older adults (57.1%), and hypertension patients, dementia patients, and osteoporotic hip fracture patients were 1 each (14.3%).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pplication intervention was applied with the goal of physical health, cognitive health, and mental health, and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effect was shown.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the application can provide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s of older adults in an aging society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interventions and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applications for older adults. Application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will help to develop.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