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원격교육에 대한 유형별 인식을 분석하고, 향후 원격교육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K대학교 사범대학 재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7개 유형으로 분류한 원격교육에 대한 인식은 IPA 분석을 적용하였고, 개선 방안은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IPA 분석에서는 t 검증,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에서는 지속적 비교분석법,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적용하였다. 예비교사는 원격교육의 유형 중 교수자료와 교수자가 함께 나오는 동영상 강의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교육의 개선 방안으로 ‘공통’, ‘동영상 강의’, ‘실시간 원격 화상 강의’의 3개 주제와 1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예비교사는 원격교육에 대해 교수자의 교육 공학적 역량함양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였다. 또 예비교사는 졸업 후 교수자가 됨을 고려하였을 때 교육과정에 원격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해야 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education by type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For 187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IPA analysis was conducted for perceptions of distance education classified into 7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IPA analysis, t-test, Borich demand,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applied, and for qualitative analysis, text mining analysis and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were applied. Among the types of distance education, the demand for video lectures with lecture materials and professors was the highest. As a way to improve distance education, three topics and 11 sub-topics were derived: ‘Common’, ‘Video lecture’, and ‘Real-time remote video lectur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faculty's educational engineering competency and interact with students in distance education and needed improvement. And, considering that pre-service teachers become teachers after graduation, it was derived that distance education-related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