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Vocational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DOI : 10.31352/JER.20.1.61
  • 22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된 대학생 진로정체감 논문 중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7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별 논문 수,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기법 및 측정도구, 진로정체감 변인의 설정 양상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연구는 1997년부터 시작하여 2012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에서는 학년이나 학과를 혼합하거나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면에서는 변인 간 관계연구와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분석기법을 살펴보면 변량분석, 회귀분석, 구조분석이 다수였으며 군집분석과 질적분석은 소수에 불과했다. 넷째, 진로정체감 측정도구로는 진로정체감 검사(VIS)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2010년대에 이르러서 진로정체감 지위 평가(VISA) 등 다른 측정도구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진로정체감은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독립변인이 그 뒤를 이었다.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받는 주요한 종속변인이었으며, 자아존중감과 성별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과 학업 및 전공만족도는 진로정체감과 영향을 주고받는 변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정체감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vocational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87 articles on vocational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in KCI journals from 1997 to 2021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papers by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analysis method, measurement tool, and aspects of vocational identity variab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began in 1997 and showed a rapid increase from 2012. Secon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most of the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mixed with grades, majors, and all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ird, in terms of research theme and research method, most studies were desig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identity and other variables and quantitative research. In terms of analysis method, most of studies were used variance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only a few. Fourth, in terms of measurement tool, Vocational Identity Scale(VIS) was the most used tool, and only in the 2010s, other measurement tools such as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VISA) began to be used. Fifth, vocational identity was most ofte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an independent vari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were major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by voc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and gender were representativ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vocational identity.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major satisfaction were variables that influenced each other with voc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