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EBS 수능특강과 학자금지원정책이 사회이동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Gap Mitigation Policy on Social Mobility: Focusing on The EBS CSAT And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Higher Education

DOI : 10.31352/JER.20.2.127
  • 740

본 연구는 교육불평등 완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정책의 프로그램들이 세대간의 상향적 사회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소득이 발생할 때, 불평등 완화를 목표로 하는 교육격차 해소정책이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해당기간 동안 정부가 교육격차 해소정책으로 제시하고 집행되었던 중등교육 시기의 EBS 수능특강과 고등교육 시기의 학자금지원정책이 소득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상향이동 가능성을 높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부모의 소득과 정규직 여부 등의 영향력에 비해 각 정책들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득분위를 달리하여 하위 계층에서의 정책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개인학습시간과 대학학점이 사회적 상향이동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 하위 1, 2분위의 학생의 경우 학자금지원 정책이 사회적 이동의 상향확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나타냈다. 교육정책을 통한 상대적 지위상향 확률이 높지 않은 것은 교육을 통한 사회적 대물림의 영향력이 강하고, 교육정책을 통한 사회경제적 격차 완화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사회경제적 불평등 하의 교육정책은 학생들의 교육과정에서 내재적 의미를 찾는 방향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며, 도구적 의미로서 사회적 지위 획득의 불평등은 다른 사회경제정책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education policy programs aimed at easing inequality have affected upward social mobility among generation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steps were divided into entering the higher education and entering the labor market, a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Does the policy of eliminating educational gaps in higher education contribute to upward social mobility between generations?To look a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policies implemented to alleviate this, the university was required to analyze the social probabilities of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KEEP) collected from 2004 to 2015 and recorded the achievements of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Education outcomes at different times of college and entering the labor market were set as subordinate variables, but they also failed to identify large and clear policy effects for those classes, considering that the main target population of the policy toward de-education is ultimately economic.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the policy of eliminating the educational gap contributed to equal economic opportunities such a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income through college entrance opportunities. To solve the problem of educational inequality without changing social order only through educational policy, the essence of social problems becomes blurred, rather, the political slogan and marketing that make it more important to treat the causes of inequality as individual ability. Furthermore, the education policy under socioeconomic inequality should be designed to find the inherent meaning of students' education processes, and as a tool, inequality in social status acquisition should be resolved to other socioeconomic poli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