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학술저널

청소년의 자기과시성향, 사회자본 및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elf-Praise, Social Capit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과시성향과 사회자본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학생 365명(남:181명, 여:184명)을 대상으로 자기과시성향 척도, 사회자본 척도,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자기과시성향은 사회자본 및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자 본과 SNS중독경향성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온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은 SNS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오프라인 교량적 사회자본은 SNS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SNS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기과시성향과 사회자본에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self-praise, social capit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365 middle school students(181 males and 184 females) were surveyed using the Self-praise Scale, Social Capital Scale, and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Results were as follows. Adolescents' self-prais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apital and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capital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tendency. Online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while offline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 negative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self-praise and social capital in order to reduce adolescents’ SNS addiction tendency.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