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만 5세반 유치원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a kindergarten teacher’s management of play-oriented curriculum through the environmental support for play

본 연구는 만 5세 유치원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천과정과 그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유아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천 고민을 해결해나가기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를 위해 충북 C시에 소재한 행복유치원 5세 초록반 담임교사가 17명의 유아와 함께 Kemmis와 McTaggart(2005)의 실행연구 모형을 활용하여 ‘계획-실행-관찰-반성’을 포함하는 4단계의 순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였다. 실행을 반복하면서 유아 놀이 관찰 기록, 놀이 활동 녹화 및 녹음자료, 사진 자료, 놀이 성찰 기록(반성적 저널), 놀이 계획안을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5세 초록반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천은 유아 주도적인 놀이 환경 지원하기(1차실행), 유아의 놀이를 지속시키는 놀이 환경 지원하기(2차 실행), 익숙한 놀이에서 벗어나는 놀이 환경 지원하기(3차 실행)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행과정을 통한 유아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의 의미는 ‘교사와 유아가 함께 이끄는 놀이로서의 지원’, ‘교사가 즐거운 놀이로서의 지원’, ‘기준과 자율성과의 경계로서의지원’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교사 실행과 그 의미를 통한 교사의 반성과 배움을 중심으로논의되었다. 첫째, 교사의 지원은 유아도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을 지원하는 상호 호혜적인 지원을 이끈다는 것, 둘째, 교사의 고민과 딜레마는 놀이 안에서 유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상호 비례한다는 것, 셋째,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의 실천은 유아의 배움을 지원하는 실천임과 동시에 교사 자신의 배움을 깨닫는 실천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사 지원의 역할을 고민하는 5세 유아 교사들이 자신의 실천을 되돌아보고 실행 방향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다.

This action research examined the process of kindergarten teacher’s implementation of a play-oriented curriculum and its meaning that focused her practice on provision of play environment to support children’s play. For data collection a kindergarten teacher in C city, Korea worked with 17 five-year-old children, applying four-stage circulation process to her teaching which includes ‘plan-execution-observation-reflection’ process model developed by Kemmis and McTaggart(2005). Through this repetitive process, data from children’s play observation notes, play activity recordings and its transcribed materials, photo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teacher’s daily pla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s findings included three steps of the teacher’s practice. They were supporting a play environment led by children(first step), supporting a play environment that sustains children’s play(second step), and supporting a play that children can deviate from conventional play(third step). The analysis of data categorized the meanings of teacher’s practice into teacher’s support that the teacher and children both lead the play, teacher’s support that the teacher enjoy the play, and teacher’s support as a boundary between standards and autonom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based on teacher’s reflection and learning through her performance of teach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teachers of 5-year-old children to reflect on their practice and rethink of the direction of their implementation unde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