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이후 학교 폭력 양상 및 대응에 대한 교원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patterns and responses following the spread of COVID-19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학교폭력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교원의 관점에서 코로나19 확산 후 학교폭력 양상과 학교폭력 대응 현황 및 장애 요인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중·고등학교 6개교에 근무하는 교원 3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 및 기타 자료 분석을 통해 발견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은 학교급과 관계없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체감하는 학교폭력 발생 빈도가 낮아졌다고 보았다. 둘째, 교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그 심각성이 가장 큰 학교폭력 유형으로 사이버 폭력을 꼽았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학교폭력의 주된 발생 장소가 학교로부터 사이버 공간 또는 학교 밖 공간으로 옮겨지면서 학교 폭력 사안에 여러 학교 출신 학생들이 연루되는 양상이 포착되었다. 넷째, 교원은 학생과의 대면 만남의 기회 감소 및 소통 부재로 인해 ‘사안의 조기 감지·인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교원은 방역 수칙의 강화, 등교 일수 감소로 인해 사안 조사와 후속 조치 모두 지연되고 있음을 문제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 of school violence following the spread of COVID-19, the current state of school violence response, and obstacles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36 teachers from six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interviewed.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based on interviews and other data analysi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overall frequency of school violence has decreased since the spread of COVID-19, Second, in the COVID-19 circumstance, teachers identified cyberbullying as the most common and serious form of school violence. Third, as the primary site of school violence shifted from the school to cyberspace or an out-of-school location, it was discovered that students from multiple schools were involved in school violence. Fourth, due to fewer opportunities for face-to-face meetings with students and a lack of communication,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y in 'early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school violence.' Fifth, teachers noted that, as a result of the enhanced quarantine restrictions and the reduced number of school attendance days, both investigations and follow-up measures were being delayed.

Ⅰ. 서 론

Ⅱ. 연구의 배경

1. 학교폭력 개념 및 유형

2. 학교폭력 사안의 조기 감지·인지의 중요성 및 사안 처리 과정

3. 코로나19 이후 학교 등교 정책 및 학생 생활상의 변화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가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코로나19 이후 학교폭력 양상에 대한 교원의 인식

2. 코로나19 이후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원의 인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