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간 본성과 교육

Human Nature and Education: Maritain and Ch’eng Hao

인간 본성에 관한 탐색은 인간 존재에 관한 근원적인 물음에서 시작된다. 인간의 性은, 한편으로 타고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육을 통하여 비로소 드러나는 것이다. 性이 타고난다는 것은, 대상에 대한 억제하기 어려운 힘에서 확인되는 바, 마리땡의 체계에서 언급된 프로이트적 무의식과 고자(告子)가 말하는 식색(食色)의 性은 그것의 좋은 보기로 삼을 수 있다. 한편 性이 교육을 통하여 확인된다는 것은, 마리땡의 체계에 나타난 전의식(前意識)의 해방과 정호(程顥)의 설명으로 제시된 물의 정화 비유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인간 본성의 두 가지 상이한 특징은 한 가지 性의 상이한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식색의 性이 추진력을 가진다면, 性의 추진력은 지식추구의 과정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 식색에서 확인되는 性의 추진력을 부정하지 않으면서 인간본성을 교육의 맥락에서 규정하는 것은, 인간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실재에 다가가는 존재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해에서 인간의 性은 일정 부분 제한이 가해진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제한은 통념 수준의 부정적인 의미에서가 아니라, 인간 본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불가피한 제한이다.

The search for human nature begins with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human existence. Human nature, on the one hand, is innate, but on the other hand, it is only revealed through education. The fact that human nature is innate is confirmed by the force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over an object, and Freudian unconsciousness mentioned in Jacques Maritain and human nature of Kao Tzu can be taken as good examples. On the other hand, that human nature is confirmed through education is clearly shown in liberation of the preconscious in Jacques Maritain and purification of water as Ch’eng Hao's figurative explanation. Of course, the two different features of human nature must be understood as different aspects of one human nature. If human nature to pursue food and sex has a driving force, that driving force of the nature can be confirmed in the process of knowledge pursuit. Defining human natur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without denying the nature that is confirmed in pursuing food and sex means that humans try to get closer to Reality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In this understanding, it can be seen that human nature is restricted to a certain extent. But the restriction is not in a negative sense at the level of conventional wisdom, but unavoidable to enable a clea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Ⅰ. 서론

Ⅱ. 마리땡의 인성론: 전의식(前意識)과 영혼

Ⅲ. 성리학의 인성론: 정호(程顥)의 관점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