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학업성취 효과 분석
The School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 of Gyeonggi-do
본 연구는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경기도 지역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효과적인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효과의 경로를 함께 밝힘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입증하여 학업성취 효과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4차년도 자료와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구조방정식(MSEM)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구성에 있어서 학생성취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영향력이 공동체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라 보고 교사학습공동체 발달 수준이라는 학교수준 교육과정 변인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학생수준 교육과정 변인은 학습자 중심 수업과 교사 수업 능력, 학생수준 교육결과 변인은 3년 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수직척도 점수로 산출한 성장점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생은 국어, 영어, 수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였고 이는 학생이 교사의 수업 능력을 긍정하는데도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 발달에 따른 학생 학업성취 효과는 영어 과목에서만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단위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발달은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습자 중심 수업을 촉진시키면서 해당 과목의 수업을 개선시켰고 영어 과목에만 한정하여 학업성취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학습공동체는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높은 질적 수준이 담보된 공동체 중심의 학습 조직이 촉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on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of Gyeonggi-do using th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Cs as a factor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by revealing the paths of effectiveness in the processes of schooling. . To this end,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layer structural equations (MSEM) were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This article confirmed the effect of PLCs influenc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established the Path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LC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was confirmed only in English subjects.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 of school-level PLCs on only English achieve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as PLCs develop, it promotes learner-centered classes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lasses on all achievements. In summary, school-level PLCs wer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that contributed to student achievement partially while improving school classes with learner-centered classes.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한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