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간재생 방안 -도봉구 평화문화진지 사례를 중심으로-

Spatial regeneration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Focusing on the case of Peace and Culture Bunker in Dobong-gu-

본 연구는 냉전체제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도봉구의 대전차방호벽이 어떻게 문화적 도시재생에 활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유사한 문화유산의 활용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60~70년대 서울의 성장과 변화에 6‧25전쟁과 그로 인한 분단체제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전차방호벽은 휴전 이후 ‘1‧21사태’에 의한 한강 이남의 수도권방어선을 임진강 이북까지 재설정함에 따라 설치된 콘크리트 장벽으로 방어 및 요새 구축이 주목적이었다. 2000년 이후 대전차방호벽은 도시이미지 훼손과 교통사고 유발의 민원으로 인해 일부 철거되거나 광고판 등으로 재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설은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그에 알맞는 공간의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서는 해당 공간이 갖고 있는 역사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 본고에서 사례로 다루는 평화문화진지는 서울의 최북단인 도봉구에 위치해 있다. 도봉구가 경기 북부에서 서울로 진입하기 위한 관문이라는 것은 1950년 6‧25전쟁 당시 북한군이 현재의 도봉동 6-5 일원을 탱크 진입로로 활용했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도봉구의 평화문화진지는 공간재생과 관련하여 쉽게 풀리지 않았던 문제를 협력적 의사결정을 통해 책임과 자원을 공유하며 문제를 해결한 사례이다. 시민이 주도적으로 도시재생에 참여함으로써 역사적 장소성을 갖고 있는 공간을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한 공간으로 재생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경제발전, 사회통합, 환경보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즉, 경제발전은 사회통합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발전은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 사례로 다룬 대전차방호시설 공간재생사업인 평화문화진지 조성사업 사례와 같이 지역사회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이러한 노력은 공간재생사업을 지속가능한 발전 거버넌스로 승화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례를 초석으로 공공의 목표와 시민 주도의 추진과정이 결합된 사업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때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nti-tank barrier in Dobong-gu, which is the product of the Cold War system, was used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find ways to utilize similar cultural heritage in Seoul.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how the Korean War and the resulting divisional system affected Seoul's growth and change in the 1960s and 1970s. Anti-tank barriers were installed to defend and build fortresses after the “1·21 incident”. Since 2000, anti-tank barriers have been partially removed or reused as billboards due to complaints.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space should be fully utilized for sustainable utilization. In this paper, the peaceful cultural center is located in Dobong-gu, the northernmost part of Seoul. The fact that Dobong-gu is the gateway to Seoul from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can also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North Korean military used the current 6-5 area of Dobong-dong as a tank access road during the 1950 Korean War. Dobong-gu's Peace and Cultural Center is an example of utilizing spatial regeneration through cooperative decision-making. It is meaningful that citizens took the initiative to participate in urban regeneration and regenerated the space with historical location into a space where sustainable development is possible.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integrated consider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social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ther words, economic development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does not hinder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development should be made in a way that does not destroy the environment. Dobong-gu has continued to make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se efforts have helped to sublimate the space regeneration business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governance. A project that combines public goals with citizen-led processes, such as the case of peaceful cultural sites, can lead to good results and produce continuous operations and results.

Ⅰ. 머리말

Ⅱ. 수도권 방어선 형성과 도봉구 대전차방어시설 설치

Ⅲ. 도봉구 평화문화진지 조성사업

Ⅳ.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활용 방안 모색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