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북오군자(小北五君子)’ 송질(宋瓆)과 『황각필한(黃閣筆翰)』 - 그 가치와 연구과제 -

Sobuk-Ogunja Songjil and The Value of Hwanggakpilhan

교통과 통신의 발달이 미흡하였던 옛사람들이 상호 간 교유하는 방법은 시문이나 편지를 주고받거나 인편을 이용하는 정도였다. 전통시대 편지 중 종이에 적거나 비단에 적은 편지를 모두 간찰(簡札)이라고 한다. 옛사람들은 선현의 글씨나 그림을 간직하려는 마음에서 그들이 쓴 친필인 진적(眞迹)을 모아 첩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황각필한』은 조선 중기 명종부터 인조까지 4대에 역임하였던 43인의 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들의 필적이 수록되어 있다. 서첩은 서신 발신자의 글씨와 18세기 관료이자 지식인들이 서신 작성자를 소개하는 글인 제발이 붙어있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발의 내용은 발신자의 성명, 본관, 자, 호, 시호, 급제, 관직 경력, 포상 등이 일반적인데, 발신자와 제발자와의 관계, 그 제발을 쓰게 된 경위를 기록하기도 하였다. 송질에 의해 편찬된 『황각첩』은 1739년(영조 15) 이전에 존재하였음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발 작성 요청 측면에서 송질과 제발자들 사이에 형성되었을 당시 관료 지식인들의 교유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향후 간찰의 내용이나 제발자의 태도에 관련해 심도 있게 살펴본다면 간찰 수집이 개인적 취향을 넘어 당파 문제와의 관련성도 연구 가능할 것이다. 또한 『황각필한』은 ‘黃閣’ 명칭을 사용한 현존 도서로는 가장 이르다는 사실, 간찰의 수집과 서신 발신자에 대한 제발이 18세기에 작성되었다는 사실에서 이 간찰의 친필들은 각 인물의 기준작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 이 간찰을 통해 조선 중기 관료집단과 지식인들의 교유 방편과 부조리할 수 있는 그들의 사회적 단면까지 가감 없이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큰 의미가 있다.

Traditionally our ancestors had companionship by exchanging poetry or letters because of the insufficiency of traffic and communication. We call this traditional letters ‘Ganchal (簡札)’ usually written in paper or silk. In old times many people made scrapbooks to collet poetry and letters written by ancient sages. Central museum in Kyung Hee University has a scrapbook named Hwanggakpilhan which collected works of 43 ministers who hold government’s key posts from King Myungjong to Injo in Joseon dynasty. This scrapbook is consist of letters and the Jebal (題跋) the introduction of the letter writers made by bureaucrats or intellectuals in 18th century. In general Jebal includes writer’s information like the name, nickname, posthumous epithet, family clan, success in state examination, career in public service, rewards. But in some cases it contains the relation between letter writer and Jebal writer or the reason of writing Jeval. Hwanggakchup was edited by Songjil and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the book appeared before 1739. And if we examine the Jebal closely we can catch the companionships of intellectuals which formed between Songjil and the writers of Jebal. In my opinion, if we study more deeply on the contents of letters and the attitude of Jebal writers, we can get more informations about political factions in the age. Hwanggakpilhan is very important. Because we can examine the publishing date of other books through Hwanggakpilhan. And it is the earliest book which used the word Hwanggak and the Jebal was made in 18th century. In this Ganchal we can find the fragments of intellectuals life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 the way of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some irrationalities of their lives.

Ⅰ. 머리말

Ⅱ. 송질의 생애와 관직

Ⅲ. 소북파의 전개와 송질의 교유

Ⅳ. 『황각필한』(乾‧巛)의 구성과 가치

Ⅴ. 송질과 『황각필한』 제발자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