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1887년 주미공사 파견에 드러난 청의 대조선 정책 변화와 알렌의 대응 - ‘알렌 문서’를 중심으로 -

Changes in the Qing Dynasty’s policy on Korea and Allen’s response revealed in the dispatch of the Joseon minister to the U.S. in 1887 -Focusing on ‘Allen Documents’-

청은 기존의 화이질서를 폐기하고 만국공법의 속국 개념을 도입하여 조선의 내치‧외교의 자유를 제한하고 종주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은 근대 국제법체계에서 조청 간의 종속관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목적으로 조선이 조약을 맺을 때마다 속방 조항의 명문화를 시도하였고,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을 점차 강화하였다. 청의 간섭을 견제할 힘을 미국에서 얻고자 하였던 고종은 조선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주미한국공사관 설립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조선이 국제사회에서 청과 대등한 국가로 인식되며 마침내 청의 종주권을 부정당하게 될 것을 우려한 청 정부의 이홍장과 원세개는 주미공사 파견을 반대하였다. 한편 서양 열강의 견제를 통해 청의 내정간섭을 중단시킬 목적으로 파미를 단행하였지만, 조선의 내치 및 외교의 자주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 화이질서의 극복까지는 고려하지 않았던 고종은 이러한 한계로 인해 전권대사를 파견하는 것에는 성공하였으나, 영약삼단을 수용하는 외교적 실수를 범하게 되었다. 고종에 의해 공사관 서기관으로 발탁된 알렌은 국제무대에서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대외적으로 공개하여 자신들의 종주권을 인정받으려 한 청의 외교적 전략을 저지하고 조선이 국제사회에서 청과 대등한 국가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국가적 위신을 지켜주었다. 또한 그는 여전히 중국 중심의 화이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었던 주미공사 일행을 설득하여 국제사회에 조선이 자주 독립국임을 입증하는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더욱 강화되는 청의 간섭과 고종 및 정부 관료들이 가진 국제정세 인식의 한계는 조선이 전통적 사대질서를 극복하고 국제법상의 자주 독립국으로 나아가는 길을 요원하게 하였다.

The Qing Dynasty tried to limit the freedom of Joseon’s internal affairs and diplomacy and strengthen its sovereignty by abolishing the existing Hua-Yi order and introducing the concept of subjuga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To this end, with the aim of gaining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in the modern international legal system, the Qing Dynasty attempted to stipulate in the text of subordinate provisions whenever Joseon signed a treaty. King Gojong, who wanted to gain the power to check the interference of the Qing Dynasty in the United States, planned to establish the Korean Embassy in the United States to further strengthen the U.S. influence on Joseon. However, Lee Hong-jang and Won Se-gae of the Qing Dynasty opposed the dispatch of the Joseon minister to the U.S. in a high-handed manner, fearing that Joseon would be recognized as an equal country to Qing Dynasty and eventually would deny their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King Gojong tried to stop the Qing’s interference in domestic affairs to restore the independence of Joseon’s internal affairs and diplomacy, but did not even consider overcoming the Hua-Yi order. Due to these limitations, King Gojong succeeded in dispatching the plenipotentiary ambassador, but he made a diplomatic mistake by accepting “the three regulations to a separate treaty(另約三端)”. Allen, who was selected as a secretary of the legation by King Gojong, made various efforts to ensure that the dispatch of ambassadors could be carried out as planned. He blocked the Qing’s diplomatic strategy to gain recognition of their sovereignty by publicly revealing that Joseon was a subordinate state of the Qing Dynasty on the international stage. Allen also defended Joseon’s national prestige so that Joseon could be recognized as a state on par with the Qing Dynas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e successfully persuaded the ambassadorial party, which still remained in the Chinese-centered order, to prove that Joseon was an independent country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e Qing government’s meddling in domestic affairs and diplomatic pressure to gradually strengthen its sovereignty toward Joseon became an obstacle for Joseon to break free from Qing influence and move toward an independent state.

Ⅰ. 머리말

Ⅱ. 19세기 청 중심 질서의 붕괴와 대조선 정책의 근대적 전환

Ⅲ. 주미공사 파견에 드러나는 조선의 대청인식과 그 한계

Ⅳ. 청의 ‘영약삼단’ 요구에 대한 알렌의 인식과 외교적 대응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