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鶴峯 金誠一의 敎學思想과 門人 및 學脈의 특징 - ‘鶴峯門人錄’ 구성을 위한 시론 -

Kim Seong-il's academic philosophy, dis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이 글은 ‘鶴峯門人錄’(학봉 김성일 제자 전기)의 ‘해제’ 성격을 띠고 있다. 우선 퇴계 이황과 학봉 김성일 간의 교학 내용, 사제 간의 상호 인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러고 나서 학봉 문인들의 구체적인 면모와 특징을 검토하면서 강학 시기와 급문 계기, 강학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학맥, 출신 지역, 친인척 관계 등을 항목으로 삼아 문인들의 출신 성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당 장흥효의 일기인 󰡔南行錄󰡕을 통해 학봉 문인들이 활동하던 당시 鶴峯學團의 구체적인 모습이 어떠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봉학맥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검토하였고, 학봉학맥의 사상적 정체성으로서 ‘心學的 道統意識’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본문 속에 도표로 첨부한 ‘<鶴峯門人錄> 일람표’는 학봉 문인의 개연성이 높은 총63명의 학자들에 대한 기본 인적사항을 정리한 것으로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 작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자료는 완결적 형태의 것이라기보다는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해야 할 ‘작업 가설적’ 성격을 지닌다.

This artic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handbook’ of Kim Seong-il's student biography.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 between Yi Hwang and Kim Seong-il and the relationship of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were considered. Second, while reviewing the specific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Seong-il's disciples, the reason and timing of becoming a student, and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cture were examined. Third, the disciples' tendency to come from was analyzed using various academic backgrounds, regions of origin, and relatives as items. Separately, Jang Heung-hyo's diary, Namhaengrok, specif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disciples at the time when Kim Seong-il's disciples were active. Finall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Kim Seong-il school was reviewed, and the legitimacy of 'Sim-hak' as the ideological identity of the Kim Seong-il school was intensively discussed. The <Kim Seong-il Disciple Record Table>, attached as a chart in the text, summarizes basic personal information on 63 scholars who are likely to be Kim Seong-il's disciples. This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work. However, this is not a complete form, but a data that must be continuously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the future.

1. 머리말

2. 퇴계와 학봉 : 교학의 구체내용과 사제 간의 상호관계

3. 학봉 문인들의 구체적 면모와 특징

4. 학봉학맥의 형성과 사상적 정체성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