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 이후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업무 경험
The Work Experience of Counselors at Local Child Protection Agencies After Publicizing Child Abuse Investigation Policy
2019년 10월 포용국가 아동정책의 세부 추진과제로 아동 최선의 이익을 위한 지자체 책임 강화의 일환인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이 도입되었다.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정책은 기존에 민간이 해오던 아동학대 대응 업무를 아동학대 조사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업무는 공공이, 사례관리 업무는 민간이 수행하는 분담 체계를 구축하였다. 아동학대에 대한 국가의 공공성이 강화되는 현 시점에 본 연구는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이후 현장의 변화를 탐색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18명의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정책 도입 이후 이들의 업무 경험이 어떠한지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이후 지역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경험은 두 가지 주제로 분석되었다. 먼저, 이들은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의 기대효과 경험’으로 ‘사례관리 중점 기관으로의 전환’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공공화에 따른 새로운 문제 등장 및 오래된 과제의 미해소’로 ‘이질적 조직체계의 협업에 따른 한계’와 ‘사례관리 전문 수행기관으로 전환을 저해하는 요인’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보호체계의 실효성을 기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In October 2019, a policy to publicize child abuse investigations was introduced as a detailed task for the Inclusive Country Child Policy, as a part of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for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The policy for publicizing child abuse investigations established a shared system in which the public sector performs the entire process from child abuse investigations to follow-up and the private sector carries out case management. At this point when the national responsibility on child abuse is strengthen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changes in the field after the policy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with 18 local child protection agency counselors to find out what their work experiences were after publicizing child abuse investigation policy.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t local child protection agencies after the policy were analyzed in two themes. First, they were experiencing ‘transition to case management-focused institutions’ as ‘expectancy effects of publicizing child abuse investigations’. Second, ‘the emergence of new problems and the failure to resolve old tasks due to publicizing child abuse investigations’ revealed ‘limits due to collaboration in heterogeneous organizational systems’ and ‘factors hindering the transition to specialized case management institution’.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