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종단연구

대학 사회봉사 교양교육의 방향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고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대학 사회봉사의 교양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성인 3,587명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5차년도 부터 14차년도 까지 데이터이며 잠재성장모델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조건적 모델 분석결과 초기 성인기 삶의 만족도 궤적은 시간이 경과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건적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성인은 출발점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삶의 만족도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 성별, 학력, 연령은 초기값만, 근로활동 참여는 변화율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초기 성인기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만족도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학 사회봉사 교양교육의 정책적·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verify the effect of young adults volunteer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and to seek the general educational direc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for revitalizing volunteer work.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587 adults who are in young adults, and the analysis data is data from the 5th to 14th years of the Korea Welfare Panel, and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sed as th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on the life satisfaction trajectory through a conditional model, adult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y showed high life satisfaction at the starting point, but life satisfaction slowly in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only the initial valu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education, and age, and only the change rate for labor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showed significant both the initial valu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at volunteer activities in young adults affect the trajectory of life satisfaction, policy and practical directions for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that can activate volunteering are presen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