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생활주택 전담 사회복지사의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전지혜(Jihye Jeon) 양숙미(Sook Mee Yang) 원영미(Young-mi Won) 이세희(Sehee Lee)
- 한국사례관리학회
- 사례관리연구
- 제1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4
- 141 - 166 (26 pages)
장애인 자립생활주택은 거주시설에서 나와서 자립하는 장애인에게 자립을 훈련하고 연습할 수 있는 주거공간이다. 탈시설 논의와 함께 개별 지자체는 다양한 탈시설 사업을 이행하였고, 자립생활주택에서 자립준비를 한 장애인들은 지역사회로 정착해나갔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생활주택 전담 사회복지사가 탈시설 장애인에 대한 자립지원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어떤 어려움이 있고 개선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인천소재 자립생활주택 전담인력을 종사하고 있는 15명을 대상으로 주관식 설문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주제어 분석방법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립에 대한 가치철학적 인식과 실질적 지원에서의 충돌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자립생활주택도 주거공간이 아닌 복지센터의 프로그램 제공기관처럼 운영되고 있었다. 또한 자립생활주택 퇴거 이후 주거 마련의 어려움과 자립정착금 지원방식의 문제점, 주변 이웃과의 관계망 및 인식의 문제 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으로 안정적 주택확보 및 자립지원금 절차개선, 종합적 자립지원 전달체계로서의 전환지원센터의 기능 강화를 제언하였고, 실천적으로는 자립생활주택 전담인력에 대한 교육, 운영매뉴얼 마련, 수퍼비젼, 및 사례관리 능력 강화를 제언하였다.
Independent Living Housing for the Disabled is a residential space where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train and practice self-reliance after leaving a residential facility. Along with the discussion on deinstitutionalization, each local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deinstitutionalization projects, and the disabled who prepared for independence in independent living houses settled into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workers in charge of independent living housing recognize and experience support for self-reliance for the disabled, any difficulties and whether there are any needs for improvement. A subjective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5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independent living housing in Incheon,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eyword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value philosophical perception of self-reliance and practical support, and the independent living housing was operated like a welfare center program provider rather than a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difficulties in finding housing after eviction from independent living housing, problems in the support method for self-reliance settlement funds, and problems with relationships and perceptions with neighbors were reveal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stabilization of housing, improvement of the procedure for self-reliance subsidy, and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 of the transition support center as a comprehensive self-reliance support delivery system. Reinforcement of, supervisory, and case management capabilities was sugges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