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관련 투사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동향 - 2000년~2021년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
- 노예진(Noh, Ye-Jin) 유경미(Yoo, Kyung-Mi)
- 한국미술치료학회
- 미술치료연구
- 제29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8
- 915 - 937 (23 pages)
본 연구는 가족 관련 투사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0년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투사그림검사로 석․박사 학위논문 80편, 한국연구재단 연구등재지 69편으로 총 149편이다. 자료의 수집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하여 KFD, PSCD, MCD, BND, KFFD, AKFD 등을 검색하여 반응특성을 검색하였고, 투사그림검사의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분석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첫째, 가족 관련 투사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는 2010년 이후 연구물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005년부터 다양한 투사그림검사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2015년 이후에는 KFD보다 MCD의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은 아동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 수는 300명 이상~400명 미만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 특성으로는 일반군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의 자료처리 방법으로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객관적 검사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으며, 객관적 검사 도구는 가족 하위유형인 애착 관련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통계 방법은 변량분석이 가장 많았다. 채점자간 일치도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는데, 일치도 방법으로 상관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평정자 수는 3인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주제는 가족 주제의 하위유형인 애착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related projective drawing test.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projective drawing test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February 2021, and there are 80 theses and 69 research paper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 total of 149 paper. Data collection involved searching RISS for KFD, PSCD, MCD, BND, KFFD, AKFD, and so on, and searching for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criteria were publication years, subjects, methods, and top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number of studies has remarkably increased since 2010. Since 2005, various projective drawing test studies have achieved interesting results, and since 2015, MC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ore often than KFD studies. Second, most of the study subjects were children, and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most often was more than 300 to less than 400. In addition, the most often studied subject characteristics were those in the general group. Third, many studies used quantitative research and objective test tools, among which most tools were related to attachment. The analysis of variance was the most used data analysis method. Many studies also us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 highest number of raters was three peopl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e most as the agreement method. Fourth, the most common topic was attachment of the family. Based on all the abov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