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영아, 유아,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교육 교과 내용 지식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content knowledge of language education between the infant, early childhood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현행 보육과정 및 교육과정을 분석을 통해 영아기, 유아기, 초등학교 저학년의 언어교육 교과 내용 지식의 연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표준보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 초등학교 공통교과 국어의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언어교육 내용을 추 출하여 연령별 교육과정의 연계 정도와 연계 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듣기‧ 말하기 하위 내용 중 구성 요소는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사이에서 비연계되었고, 태도는 영아와 유아 사이에 비연계 되었다. 둘째, 읽기와 문법은 영아, 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사이 에서 모두 비연계되었고 쓰기와 문학은 모두 연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에 다 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영아기에서 유아기로 들어서는 경우, 말하기‧듣기 방식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주기보다는 자연스런 발달을 위해 개별 차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 다. 둘째, 학령 전 유아의 경우에는 읽기와 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적 자극을 통해 초등 학교 언어교육과의 연계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언어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문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 다. 넷째, 교사는 연령보다는 현재 영유아의 언어적 흥미, 수준에 따라 문학작품을 지속적 으로 제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ontinuity and sequence on language education content knowledge for infants, early childhood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analysis of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contents of language educ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Korean language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degree and type of continuity and sequence among school levels were analyzed for the contents. First, between early childhood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no continuity and sequence was found for the component among the sub-scales for listening and speaking, and between infants and early childhoods, no continuity and sequence was found for the attitude among the sub-scales for listening and speaking. Second, no continuity and sequence was found for reading and grammar among infants, early childhood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ile continuity and sequence was found for writing and literature among th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en children goes from infants to early childhoods, it is necessary to support children with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so that they can be developed naturally rather than making rapid changes in listening and speaking. Second, in case of early childhoods before school age, continuity and sequence with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practical educational stimul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ird, teachers for infants and early childhoods should help them learn Korean grammar naturally by us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language education. Fourth,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to continuously provide literary works that suit the linguistic interest and level rather than the age of childre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