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시설 청소년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based Program for Improvement of Independence Willingness of Adolescent in Institutional Care

  • 118
표지.JPG

본 연구는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마음챙김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타당한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질적분석을 통해 마음챙김 활동에 대한 참여자의 경험과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고, 시설 청소년의 자립의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Y지역에 소재한 K아동양육시설의 관계자와 청소년들이다. 마음챙김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대상은 고등학생 8명으로 일주일에 1회기, 80분씩 8회기에 걸쳐 진행하였고, 해당 시설 자립담당교사도 참여하여 예비 프로그램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양적연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질적연구는 자립의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질적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추론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를 위해 마음챙김 세부 활동의 적용과정을 세밀하게 탐색하였다. 그리고 논의를 통해 연구결과의 불일치를 가져온 자립의지 척도의 보완, 자립의지를 향상하는 프로그램이 지향해야할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ing independence willingness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according to reasonable procedure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explore changes in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indfulness activities,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officials and adolescents of K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Y city. The target of the mind-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ight high school students, once a week, 80 minutes each, and teacher in charge of self-reliance also participa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of the preliminary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quantitative research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the other hand, qualitative research report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dependence Willingness. Accordingly, the researcher inferred the effectiveness of the mindfulness-based program by exploring changes i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cess of mindfulness based activities was explored in detail for future studies. And through discussion, supplementation of the measure of independence willingness that led to inconsistencies in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direction that programs that improve independence willingness will should pursue were presented.

서 론

연구방법

프로그램 구안

프로그램의 효과

질적분석 결과

논 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