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의미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행복감의 이중 매개효과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Happiness on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Baby Boomers

  • 180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의미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행복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출생한 400명의 베이비붐 세대(남녀 200명씩)였으며, 그들은 온라인상에서 모집되었다. 그들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자살 생각, 가족지지, 그리고 행복감 수준을 측정했으며, 그 측정한 자료는 Haye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삶의 의미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도 삶의 의미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의미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행복감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그 매개효과에서 가족지지가 행복감보다 더 우선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베이비붐 세대의 자살 예방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happ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baby boomer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400 baby boomers (200 men and 200 women) who were born in between 1955 and 1963, and recruited through an online panel provider. The levels of the meaning in life, suicidal ideation, family support, and happiness for them were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ayes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amily support was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in life and the suicidal ideation. Happiness was also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and happiness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hile family support took precedence over happiness in the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uicide prevention for the Korean baby boomers.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