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상담을 경험한 여성 상담자들의 전문성 발달과정: 근거이론 연구를 중심으로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Female Counselors Who Experienced Counseling for Victims of Digital Sexual Violence : Focused on a Grounded Theory Research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33권 제3호
-
2022.089 - 48 (40 pages)
- 263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상담을 진행한 여성 상담자들의 경험을 통하여 그들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를 상담하는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이며, 총 14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분석한 결과 125개의 개념, 66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의 중심현상은 ‘유포불안으로 상담의 무력함을 경험함’으로 확인되었다. 과정 분석을 통해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상담을 진행한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관심/도전, 한계/전략, 인식/확장의 3단계로 드러났다. 관심/도전 단계는 낯선 상담에 관심을 가지고 도전하는 단계이다. 한계/전략 단계에서 상담자는 피해자의 유포불안을 다루며 자신의 한계와 상담의 무력함을 느끼지만, 반면 상담의 어려움 속에서도 스스로 버티며 다양한 전략들을 고민한다. 인식/확장 단계에서 상담자는 디지털 성폭력 상담에 필요한 전략을 깨닫고 상담자의 전문적인 영역을 확장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기독교적 논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emale counselors who experienced counseling for victims of digital sexual violence. The methodology is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 As a result of analyzing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4 study participants, 125 concepts, 66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participants was confirmed as ‘experiencing the powerlessness of counseling due to dissemination anxiety.’ There were three stages. The stage of interest/challenge is the beginning of challenging with interest in unfamiliar counseling. In the limit/strategy stage, the counselor deals with the victim's dissemination anxiety and feels the counselor's limitations and the powerlessness of counseling. In the recognition/extension phase, the counselor realizes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digital sexual violence counseling and expands the counselor's professional domain. Finally, Christian discussions on th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