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나무그림을 통한 아동의 자아상 변화 사례연구 : 비온의 담아주기(투사적동일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Children's Self-Image : Focused on Bion's Containment(Projective Identification) Theory

  • 34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자아상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나무그림을 도구로, 정신분석가 Wilfred Bion의 담아주기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투사적동일시에 초점을 맞추었다. G미술심리치료연구소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하여, 불안정한 정서가 나타난 3명을 선정하였다. 미술치료 매 회기 도입 단계에서 나무그림을 그리고, 2019년 6월~2020년 6월까지 진행하였다. 활동은 ‘나무일기’로 명명하였다. 연구참여자 각각 나무그림 28점 중 4점의 선정하였는데 4점 중 첫 번째 나무그림은 그림검사 시 그린 것이고, 나머지 3점은 단계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선정된 나무그림은 미술 치료적 관점으로 Koch의 표준화된 해석 기준에 입각하여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하고, 동시에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의 담아주기는 연구참여자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관계에서 투사적동일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담아주는 태도가 아동의 자아상에 영향을 미치며, 나무그림을 통해 자아상의 변화를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the change self-image of children, using tree-drawing as research tools. It is based on the 'containment' theory of the psychoanalyst Wilfred Bion and focused on the projective identification. Art therapy has carried from June 2018 to June 2019. 3 children expressing unstable emo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Baum test results. Participants draw tree-drawing named 'tree-diary' every session. 4 tree-drawings were selected from tree-diary. The first tree-drawing is Baum test result, and meaningful changes are shown in the others. The tree-drawings were classified into forms and contents based on Koch's Standards, and the drawings were analyzed by psychoanalytic. As a result, researcher's 'containment' affected participant's emotions which was confirmed by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mutual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the researcher's 'contai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image changes of children, and the change is shown through tree-drawing.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