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심상담사의 학업 및 수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Academic and Training Experience of Novice Counselors

  • 302

본 연구는 상담대학원 졸업을 전후로 상담 현장에서 첫 내담자를 만나기 시작한 입문 시기의 초심상담사가 학업과 수련 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대학원 4학기 이상이며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상담센터에서 자원상담사로서 수련을 하고 있는 초심상담사 8명을 심층면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묶음, 그리고 3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범주화된 내용은 ‘상담의 길로 들어섬’, ‘상담공부를 시작함’, ‘수련이 만만치 않음을 경험함’, ‘첫 상담을 시작함’, ‘상담 현실을 불안하게 바라봄’, ‘현실의 벽 앞에서 주저함’, ‘현실을 딛고 일어섬’, ‘상담 안에서 내 길을 만들어감’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심상담사가 전문상담사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당면하는 어려움을 줄이고 전문성 증진에 전력하기 위한 교육 및 수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더불어 기독교상담이 이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novice counselors, who started meeting their clients before and after graduation, are experiencing the counseling study and trai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rticipa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8 categories, 19 themes clusters, and 38 themes were derived. The categorized contents were 'entering the path of counseling', 'starting to study counseling', 'experiencing the hard training', 'starting the first counseling', 'looking anxiously at the reality', 'hesitating in front of reality', 'getting up from reality', and 'making my way in counsel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develop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reduce the difficulties of novice counselo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christian counseling to become the support of the beginn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