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OI : 10.22683/tsnr.2022.11.3.081
  • 105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박자 맞추기 게임이 실행기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사례 연구 방법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으로, 노래가 나오는 화면을보고 화면에서 나타나는 검은색 타일을 누르는 게임이다. 박자 맞추기 게임은 주 3회기, 휴식 시간포함 20분 동안 총 7회기 진행하였다. 종속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이 대상자의 실행기능 향상에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시각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는 ‘아동 색 선로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와 ‘토막짜기(Block design)’, ‘숨은 그림 찾기(Finding hidden picture)’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3명의 대상자 모두 독립 변인인 박자 맞추기 게임의 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종속 변인인‘시각운동속도’, ‘시각 주의력’, 집중력의 실행기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고 집중력이 부족한 발달 지연 아동을대상으로 학습 및 중재에 효과적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at-keeping games in smartphone applications on improving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 Three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BA design used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beat-keeping game. The game was hel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seven times for 20 minutes, including breaks. The dependent variable, “Visual-motor speed,” was measured every session to assess if the beat-keeping gam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executive function. Furthe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 “Block design,” and “Finding hidden picture” were measured. Results : All three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the beat-keeping game and the executive functions of “Visual-motor speed” and visual atten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effective applications for learning and intervention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have difficulty in motivating themselves and lack atten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