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주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의 심리·정서 지원 중재 프로그램 관련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A Systematic Review on Intervention Program Research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Immigrant Youths

본 연구는 이주배경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심리·정서지원 중재프로그램 관련 연구에 대한 학술지 게제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1년 11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총 20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20세 이상 연령도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술치료가 다른 치료기법들 보다 많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실험-통제 집단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 보다 실험집단만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자료 수집은 실험 후 사전-사후 질문지를 통하여 검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 후 면접, 투사검사 분석, 참여자 및 치료자의 보고를 질적 분석한 경우가 많았다. 프로그램 진행 시 사용언어는 이주배경 중도입국청소년의 모국어로 직접 진행한 경우는 1건에 불과했고 나머지 프로그램 대부분은 통역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향후 연구 및 정책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rends by analyzing academic journal article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vention programs for immigrant youths. To this end, 20 articles from 2008 to November 2021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was performed more than other interventions. Second, although most the intervention program participants were children, early youths, and late youths over 20 years of age were also included. Third, most previous studies were based on experimental research, which was more frequently conducted onl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rather than comparison researches on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s. Data were most often collected through pre-post-experimental questionnaires, post-experiment interviews, projection tests, and qualitative reports from participants and therapists were also used. As for the language used during the intervention, there was only one case where the program was conducted directly in the mother tongue of immigrant youths, and most of the programs were conducted with the help of an interpreter. In conclusion, future research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presented.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