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계고 학점제 전담 교사와 진로 전담 교사 간의 직업계고 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도 분석

Analysis of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between teacher in charge of credit system and career teacher

  • 164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정책의 핵심 인력인 학점제 전담 교사와 진로 전담 교사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 요소에 대한 이해 정도와 수용 정도를 조사하여, 이해도 대비 수용도와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안정적인 고교학점제 정책의 정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직업계고 학점제 전담 교사와 진로 전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정책에 대해 학점제 전담 교사, 진로 전담 교사를 대상으로 정책 이해 정도와 정책 수용 정도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책 이해 정도 대비 정책 수용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점제 전담 교사의 정책 수용 정도가 낮은 항목을 살펴본 결과 정책 수용 정도가 낮은 항목은 학점제 교육과정 편성 중 학교 간, 학교 밖 운영 모형에 대한 정책 수용도가 낮았고, 진로 전담 교사의 경우에도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정책 수용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 전담 교사의 정책 수용 정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진로 전담 교사 역할의 확대 및 재구조화였고, 진로 전담 교사와의 수용 정도 차이도 가장 높은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계고 학점제로 인해 변화하는 정책에 대한 이해 정도와 수용 정도에 대한 학점제 전담 교사와 진로 전담 교사간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두 집단이 공통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for teacher and career teacher in charge of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e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e basic data will be provided for the stable establishme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 in charge of credit system and career teacher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gree of policy understanding and policy acceptance for teacher and career teacher, it was found that policy acceptance between both groups were low compared to policy understanding. Second, the items with a low degree of teacher acceptance of policies showed low toward inter-school and out-of-school operation models during the course composition of the credit system. Third, the item with the highest degree of policy acceptance by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 was the expansion of role of the career teacher, and it was the highest difference in acceptance with the career teacher.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career teacher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hanging policies due to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was judged to show a common tren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