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층모형을 활용한 중·고령층 장애인의 스트레스, 인터넷 사용, 문화기반시설 및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Stress, Internet use, cultural infrastructur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pproach

본 연구는 중·고령층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의 요인(스트레스, 인터넷 사용)과 지역 수준요인(문화기반시설 수)을 분석하고 두 수준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와 통계청의 e-지방지표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중·고령층 장애인 총 5,393명으로 남성이 3,077명(57.1%), 여성이 2,316명(42.9%)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층 장애인의 인터넷 사용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높아지고,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층 장애인의 거주지역에 문화기반 시설 수가 많으면,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령층 장애인의 거주지역에 문화기반 시설 수가 많아질수록, 중·고령층 장애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 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중·고령층 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고령층 장애인들의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의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predictor variable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level (i.e., stress, internet use) and regional-level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s per 100,000 people). The Individual-level data used in our study are drawn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n = 5393). The regional-data stem from the Statistics Kore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e found that internet 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s had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individual and regional variables formulat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