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업로드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규장각 소장 한글 번역본 『청구야담』과 왕실 독자

Cheong-gu Yadam from Kyujanggak Manuscript and a Reader from Royal Family

  • 25

본고의 목적은 규장각 소장 한글 번역본『청구야담』에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가 이야기의 탈락 및 문면의 변개를 통해 다각도로 반영되어 있음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한글 번역본『청구야담』은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본래 한문으로 쓰인 『청구야담』󰡕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 총 19권 19책으로 이루어진 완질본이다. 규장각본 『청구야담』은 규문의 수요에 응해 번역되어 궁중이나 상층 사대부가의 여성들 사이에서 향유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규장각본 『청구야담』이 편역되는 과정에서 몇몇 이야기들이 의도적으로 탈락된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도 지적된 바 있다. 그런데 한문본『청구야담』과 규장각본『청구야담』의 전체 문면을 면밀히 비교 검토한 결과, 규장각본『청구야담』에는 이야기를 취사선택하는 과정 뿐 아니라 번역하는 과정에서도 역자가 왕실의 구성원을 독자로 상정함으로써 의도적으로 서술을 조정한 것으로 보이는 부분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그 실례를 제시하면서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가 이야기의 탈락 및 문면의 변개를 통해 반영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규장각본 『청구야담』에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가 이처럼 다기한 방향에서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은 지금껏 간과되어 온 부분이다. 이를 새롭게 조명한다는 점에서 본고는 규장각본『청구야담』의 특징적 면모를 온전히 밝히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규장각본『청구야담』에 이야기가 취사선택되고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가 두루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검토했다는 점에서 본고는 왕실 독서물이 편역되는 과정에서 보이게 된 특징적 일면을 확인한다는 의의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in detail the consideration shown toward a reader from the royal family and how this is reflected by the deletion of a story and alterations to the text of the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at the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was translated based on a demand from upper-class women and was enjoyed among women in the court or upper-class families.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some stories that did not meet the standards were omit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However, after closel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entire texts of Cheong-gu Yadam in the Chinese version and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tory, the translator intentionally adjusted the description after assuming that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would be reading it. While presenting this example,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sideration shown toward a reader from the royal family is reflected through the omission of a story and alterations to the text. This consideration shown toward a royal reader as reflected in the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has been overlooked so far. Through this point, I think this paper can help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Cheong-gu Yadam from the Kyujanggak Manuscript.

1. 머리말

2. 이야기의 탈락을 통해 본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

3. 문면의 변개를 통해 본 왕실 독자에 대한 고려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