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강-임진강 합류부 환경・생태보전을 위한 남북협력 방향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on Ecological Conservation along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Focusing on Conservation of Migratory Species

DOI : 10.17663/JWR.2022.24.3.155
  • 18

남북 공유하천 논의는 기존 수자원 분야 협력에서 생태보전협력 방향으로 논의 확대가 필요하다. 한강-임진강 공유하천합류부 수계의 경우 기후 위기 대응 측면에서 하구 생태계의 온전성이 보전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남북대화를위한 의제로서 남북 서식지를 공유하는 이동성 생물종의 보호를 중심으로 남북 생태보전 협력이 진행되어야 한다. 특히, 한강-임진강 합류부는 법정보호종인 재두루미, 큰기러기, 개리, 저어새, 수달, 삵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서식지 보전측면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임진강 공유하천 합류부 생태보전을 위한 북한과의 협력을 위해 환경・ 생태협력 여건을 분석 후 향후 진행 가능한 협력사업을 제시하였다. 이때, 현시점을 준비 단계로 보고 남북관계 변화에따라 향후 남북 간 직접 교류가 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생태보전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북한과의 협력은 공유하천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는 과학교류, 대중인식 증진 활동의 결과를 교류하는 작업이수반될 때 실제 협력사업으로 진행할 수 있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bate of South-North transboundary rivers must be expanded from the existing cooperation in water resources towards cooperation within ecosystem conservation. Regarding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water system, the nature of the estuarine ecosystem must be conserved considering the aspect of climate change. Furthermore, the agenda of maintaining continuous inter-Korea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should focus on ecosystem conservation, including conserving migratory species that inhabit both Koreas. Notably, within the Han and Imjin rivers confluence, transboundary rivers are abundant legally protected species such as Grus vipio, Anser fabalis, Anser cygnoides, Platalea minor, Lutra lutra, Prionailurus bengalensis which suggests a strong need for a debate regarding habitat con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cosystem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aspects within the confluence of Han and Imjin river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step wise approach of ecosystem conservation that consider conditions for potential direct inter-Korean cooperation. The inter-Korean cooperation mentioned in this study will be developed into legitimate cooperation once the results from monitoring the ecosystem of transboundary rivers, awareness raising are exchanged.

1. 서 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