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이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Musical Experiences, Musical Self-Concept, and Role Recognition in Music Education on Content Knowledge of Music Teachers

  • 183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교사 이전 음악교육 경험, 양성 과정 수강 여부, 교사 이후 음악 관련 연수 경험, 교사 이후 개인적 음악 경험)과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이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PCK)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S시, I시, G도 내 유아 교사 3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음악적 경험 및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 인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을 음악교수내용지식과 하위 요소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단계별 회기모형이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는 높은 수준의 음악교수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사는 많은 음악경험과 높은 수준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 변인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experiences (teachers' music teaching experiences, whether they have taken training courses, teacher post-music-related training experiences, teacher personal post-music experiences), music self-concepts, and role perception (PCK) in music education conten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S, I, and G also collected data from 36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correlation between music experience, musical self-concept, and the role perception of music education was shown as predictors of music professor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ing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 knowledge of music education content have more musical experience, higher musical self-concept, and higher awareness of their role in music education. It is thought to help show a new direction that support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of music education cont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therefo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study of the funda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tudy of music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facult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