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코로나19 시기 생애주기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lderfer의 ERG 이론 적용

코로나19 시기를 살아가는 성인들의 생활만족도 증진방안을 찾기 위하여, Alderfer의 ERG이론을 적용하여 노년기, 중장년기, 청년기와 같은 생애주기별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8세 이상 고양시민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조사된 ‘2020년 고양시민 행복증진 지표 개발 및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생활만족도는 세 집단 중 노년기가 가장 높았고 청년기, 중장년기 순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애주기별 주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노인과 중장년은 ‘주관적 건강’, ‘사회적 관계’, ‘여가생활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청년은 ‘주관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가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코로나 감염의 두려움’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감염의 두려움은 청년에게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생활 만족도’는 청년의 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여가는 노인과 중장년의 생활에 더 중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코로나19 시기 ‘도움 제공자 수’, ‘타인의식’, ‘자원봉사 참여’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 생애주기별 생활만족도를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adults living in the age of COVID-19,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generat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derfer’s ERG theor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1,233 people over the age of 18 using the data of the “Research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Goyang Citizens’ Happiness Promotion Indicators” surveyed in 2020.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three groups was highest among the elderly, followed by the young and middle-ag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by gen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ocial relationships, and leisure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and middle-aged we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young people,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ear of COVID-19 infection is negatively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ear of COVID-19 infection has a greater impact on young people than on the elderly and middle-age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leisure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people. Leisure was suggested to be more important in the life of the elderly and middle-ag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by life cycle in the era of COVID-19.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