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이정자(Lee, Jungja)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놀이치료연구
- 제26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8
- 1 - 13 (13 pages)
연구대상은 12차 한국아동패널연구에 참여한 1017명의 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남아 526명, 여아 491명이었다. 자료는 Pearson상관과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두 번째, 어머니 의사소통, 어머니 소외감, 아버지 소외감 요인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관련된 기제임을 나타낸다. 이는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연구와 실제에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on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The study sample was 1017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526 boys and 491 girls) who participated in the twentie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Further, maternal communication, maternal isolation, and paternal isolation were predictor variables for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These results can help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mechanisms linking maternal and paternal attachment to media device addiction. These findings can serve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ith respect to reducing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