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보육교사의 마음챙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분화의 이중매개효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분화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과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53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임의표집 방법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하고 총 489명의 설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자기분화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을 거쳐 직무만족도로 가는 간접경로와 마음챙김이 자기분화를 거쳐 직무만족도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남에 따라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분화를 순차적으로 거쳐 직무만족도로 가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국가적인 지원과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differentiation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mindfuln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a random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to 530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fter removing insincere responses, 48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childcare teachers’ mindful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mindfulness leads to job satisfaction through self-differentiation and indirectly through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as all indirect paths appeared to be significant.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direct path to job satisfaction through mindfulness sequentially throug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thereby indicating that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s results will be employed as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that may enhance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differenti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