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성인애착과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최경희(Chio, KyungHee) 임성미(Lim. Seongmi)
- 한국재활심리학회
- 재활심리연구
- 제29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9
- 121 - 138 (18 pages)
본 연구는 부모의 성인애착과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치원 유아 216명과 그 부와 모 각각 216명의 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성인애착 척도, 부모역할 척도, 정서조절능력 척도,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감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공감능력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부모역할 중 모 양육역할과 부 양육역할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역할 중에 모 양육역할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al intelligence on level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among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and their parents(216 fathers and 216 mothers, respectively) in a metropolitan cit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parent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Data were an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based on their age and gender. Second, some aspects of parental intelligence (i.e., mother’s caregiving role, parental caregiving role),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apability. Third, mother's caregiving role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empath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