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COVID-19 시대와 COVID-19 이후의 음악 교과 수업의 목표와 방향성을 탐색하고 고등학교 음악 교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DDIE 모형을 토대로 블렌디드 러닝 절차를 절충하여 1학년은 생활화 영역, 2학년은 표현 영역에 비중을 두고 5차시 프로젝트 음악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수업 후에는 교사 자기 평가와 개방형 학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 설계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재해석하여 음악 수업의 범위를 확장시켜줄 수 있다. 둘째, 미래 교육이 지향하는 일상 예술과 온ㆍ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예술활동이 이루어지려면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 형태는 필수적이다. 셋째, 등교 수업과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이 격주로 이루어진 음악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on blended learning that can be utilized for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future direction of high school music courses. It designed a project music class that compromised the procedure of blended learning using the ADDIE model, and then conducted five courses for the first grade focusing on the life area and for the second grade focusing on the expression area, respectively. After class, teacher self-assessment and an open-ended student survey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first, a well-designed blended learning class can expand the scope of music classes by reinterpreting th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adopting blended learning is very important for people to be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of everyday art both online and offline. And third, most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project music classes that were done either offline (in class) or online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biweekly.
Ⅰ. 서론
II. 블렌디드 러닝의 이해
III.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제
IV.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평가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