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방안탐색 - FGI 조사 및 IPA 메트릭스 분석을 바탕으로 -
A Search for Music Teachers’ Learning Community Management Plan to Enhance Their Expertise: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and IPA Matrix Analysis
- 김영후(Young Hoo Kim)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제51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22.05
- 115 - 146 (32 pages)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음악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실태를 분석하고 음악교육전문성 강 화를 위한 학습공동체 운영 및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음악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학습공동체 참여실태를 조사하였고, 수석교사, 교수, 교사를 대상 그룹별 FGI 실시 후,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을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사의 근무교 유형, 학력, 연령은 학습공동체 필요성 인식, 참여양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요도⋅만족도(IPA)분석 결과 교사 간 협력과 소통, 정서적 지지, 수평적 리더십의 공유는 학습공동체의 핵심 요인으로 지속, 유지가 필요한 영역으 로 나타났으며 학습환경지원에 대한 개선, 학습성과의 환류는 집중관리 및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교원음악회, 수업나눔, 음악교육포털 등을 통한 환류과정이 강화되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음악교사 학습공동체 참여양상에 대해 다각적 으로 분석하고, 음악교사 학습공동체 운영방안을 제시함으로 음악교사 교육의 질적 제고 및 전 문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volvement of music teachers in Seoul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search for a plan to manage and support the community for enhancement of their expertise in musical education. For this, the current involvement of 120 music teachers in Seoul was investigated, FGI was conducted targeting 15 people, including head teacher, general teacher, and professor, and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IPA matrix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SPSS 21.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learning community, involvement in the community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where the music teachers work, their education, and their ag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PA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emotional support, and lateral leadership sharing between teachers were found to be the core elements that need to be continued and maintained, and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and reflux of academic achievement need of improvement. Third,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flux needs to be strengthened through the ways such as teacher’s concerts, lesson sharing, and musical education portal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music classes and improving music teachers’ expertise based on its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music teachers’ learning community.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